ρ = m/v
m은 단위 결정세포의 질량을 대표하고 v는 단위 결정세포의 체적을 대표한다.
단위 결정세포의 질량 (m)은 결정세포내의 모든 원자의 몰의 질량과 량으로 계산할수 있다.불화칼슘 (caf2)의 경우, 각 결정세포는 하나의 칼슘 원자 (ca)와 2개의 불소 원자 (f)를 포함하고 있다.
그러므로 단위수정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표시할수 있다.
m = (몰의 질량 _ca × 원자 수 _ca) + (몰의 질량 _f × 원자 수 _f)
m = (40.078 g/mol × 1) + (18.9984032 g/mol × 2)
m = 40.078g/mol + 37.9968064g/mol이다
m = 78.0748064 g/mol
단위결정의 체적 (v)은 결정계수 (a)로 계산할수 있는데 면중심립방구조의 불화칼시움결정에서 결정계수 a는 일반적으로 격자상수와 같다.
체적 v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수 있다. v = a^3
그러나 정확한 불화칼시움결정의 밀도를 얻으려면 일반적으로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여야 한다.결정체의 밀도는 제조 방법, 순도, 결정 구조 및 온도, 압력 등의 물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.
이상은 불화칼시움결정의 밀도를 어떻게 계산하는가에 대한 해답입니다. 귀하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어떤 문제가 있으면 온라인으로 문의하시거나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.